<알림 : 이 글에는 영화 내용에 대한 스포일링이 일부 포함될 수 있습니다.>

   영화 「무현 - 두 도시 이야기」를 보았습니다. 오늘이 아니고 정확히 일주일 전에... 한 주간의 사색을 거쳐 키보드 앞에 앉았습니다. 대통령이 대통령답지 않은, 아니 대통령이 아닌 것 같은 이 어수선한 세상에, 개봉관 조차 몇 확보하지 못하고 선을 보였던 이 한 전직 대통령이 대통령에 당선되기 전, 국회의원 선거에 조차 떨어지던 시기를 그린 다큐멘터리 영화는, 그 사이에 시간이 흐를 수록 찾는 이들이 더 늘어 박스오피스 역주행 중이라는 기사를 얼마 전에 보았습니다.

   제게 있어서 이 영화는, 2000년 총선이 있은 지 얼마 후에 KBS의 한 리얼리티 프로그램[각주:1]에서 당시 노무현 낙선자를 밀착취재해서 방영했던 것을 유심히 보았던 그 오랜 기억을 끄집어 내 준 점에서 의의가 있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겠지만, 그 프로그램으로 '바보 노무현'은 더 유명해지고, 전국적인 노사모열풍이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지요.) 한편으로는, 평행이론적 관점에서 2016년 여수의 '무현'이라는 한 축을 이루는 故 백무현 화백의 이야기는 제가 몰랐던 부분이라 관심을 가지고 봤습니다.

   제가 노무현 대통령에 대하여 도저히 이해하지 못하다가 이 영화를 통해 비로소 이해하게 된 것이 하나 있습니다. 영화가 다루지 않는 내용인데, 2002년 12월 대통령 당선 후의 일성(一聲)으로 당시 노무현 당선인이 "나를 지지한 50%를 위한 정책을 하는 대통령이 아닌 나를 지지하지 않은 50%를 위한 정책도 함께 하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한 적이 있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그때부터 '아니, 그럴려면 우리가 왜 당신을 지지했는가? 당선인이라면 그 지지자를 위하여 지지자가 원하는 정책을 임기내에 관철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는 의문을 가지고 있었지요.

   그 답이 이 영화에 있더군요. 이 영화의 2000년 선거운동 화면 중에 이런 부분이 나옵니다. 아무도 본인의 선거운동에 관심을 가져주지 않는 부산 어떤 시장 부근에서의 고된 일정을 잠시 멈추고 쉬러 들어갔던 다방에서 당시 노무현 후보가 다방 종업원에게 묻습니다. '이렇게 저(노무현 후보)에게 관심도 안 갖는 지역에서 제가 유세를 해야 할까요?' 그 다방 종업원은 대답하죠. '해야 합니다. 당신을 지지하지 않는 유권자라도, 그들에게 유세하고 그들의 의견을 들어야 합니다.' 왠만한 정치인들은 스쳐 듣거나, 깨닫는 게 있어도 그 결심이 오래 가지 않을 수도 있을 텐데, 노무현은 이 다방 종업원과의 대화에서 크게 깨달음을 얻고 이를 신념화하여 정치인으로서 행보에 끝까지 반영합니다.

   제가 이해할 수 없었던 부분이 여기서 풀렸습니다. '아, 이때 깨닫고 신념화한 내용이 그때의 그 나머지 50% 언급을 낳았구나...' 재임 중 '대북송금 특검' 수용 등의 소위 진보진영을 당혹케 했던 정책으로 인해 진보진영에서도, 보수진영에서도 공격받는 결과를 낳았던 것도, 집권 후기 노무현 대통령의 '대연정', '개헌' 제안이 나오게 된 배경도 이 신념에서 비롯된 것임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물론, 당시 야당(한나라당)과 여당(열린우리당) 그리고 각 유력 대선후보들까지 노 대통령의 이 제안들을 정치공학적으로 받아들이고 반대했었죠. 심지어는 노대통령 지지자들까지 이해하기 힘들어 했으니까요... 개인적으로는 14년 전부터 가져 오던 의문이 이제와서 풀린 겁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과는 별개로, 분명히 이 영화가 '박스오피스 역주행'을 하는 데는 그 객관적인 이유 혹은 시사적인 배경이 있겠지요. 강한 신념과 주관을 가지고서 그것이 정치인이라면 당연히 중시해야할 '당선' 가능성과 배치된다고 하여도, 또 실제로 낙선했다고 하여도, 유권자(국민)를 탓하지 않고 기꺼이 감내한 2000년 부산에서의 노무현과 2016년 여수에서의 백무현을 대비시켜, 신념없이 이미지만으로 성공가도를 달려오다 사실은 누군가의 '꼭두각시'였음이 드러난 요즘의 어떤 유력 정치인을 떠오르게 합니다. 또, 정치인 본인의 생각과 철학을 연설문에 정확히 반영하면서도 쉽고 간결하게 유권자에게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며 연설문 담당 보좌관들과 고민하는 노무현 대통령의 모습에서, 중요한 연설문을 사사로이 외부 비선 실세를 통해 수정하여 엉뚱한 오류와 황당한 비문을 낳았던 요즘의 그 어떤 유력 정치인을 비교하게 합니다. 이러한 사실만으로도 이 다큐멘터리 영화는 2000년의 노무현을 기억하지 못하는 젊은 세대에게 요즘의 그 유력 정치인이 얼마나 엉터리인지를 잘 보여주는 영화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 영화의 내용보다는 내용 외적인 부분에 신경이 많이 쓰였던 게 사실입니다. 물론, 저예산 독립 다큐멘터리 영화라고 할지라도, 그래도 관객이 있는 엄연한 개봉 영화인데, 같은 내용이라도 관객들이 영화에 조금 더 공감하게 하는 구성을 갖출 수는 없었는지 하는 아쉬움이죠. 안타깝게도 영화 속에 선술집에서, 작업실 회의탁자 등에서 등장하며 토론 내지는 자기 생각을 말씀하시는 분들이 이야기 할 때, 노무현을 떠올리면 먹먹해 지고 감정이 복받쳐 말을 잇기 어려워 하시는 모습들을 컷트 없이 롱테이크로 잡는데,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사전지식이 충분하지 못한 관객이라면 영화 내용의 전개만으로 그 눈물에 공감하고 함께 눈물 흘리기가 쉽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최근에 인간 관계의 중요성을 이야기할 때 '공감능력'이라는 부분을 많이 이야기하지 않습니까? 개인의 '공감하는(해 주는) 능력'을 의미할 텐데... 대중매체라면, 같은 내용이라도 좀 더 짜임새 있게 구성하여 '사람들을 공감시킬 수 있는 능력'이 발휘되었다면 더 좋았겠지요. 이러한 측면에서 이 영화는 조금 아쉽지 않았나 합니다.

   또 하나 든 생각은, 좀 생뚱맞지만, 앞으로 점점 더 노무현을 알지 못하는 요즘 젊은 사람들과 다음 세대에게 노무현의 생애, 정치적 이상과 한계, 집권시의 업적과 과오 등을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알려 줄 수 있는 매체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998년 2월부터 2008년 2월까지, 국민의 정부가 IMF위기를 수습하고 민주정치의 기초를 닦아, 참여정부에서 찬란하게 꽃을 피운 우리 사회가 그 이후 시나브로 퇴보하다가, 어느 샌가 모르게 붕괴되어 있었다는 것을 깨달은 요즈음, 10여년 전 그 시절은 단지 소주 한 잔 걸치며 눈물짓고 그리워만 할 대상이 아닌, 우리가 회복해야할 가치와 국가 시스템의 기준과 목표가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 목표를 향해, 혹은 그 목표를 뛰어 넘는 비젼을 향해 우리 다음 세대를 이끌어 줄 새 시대의 지도자를 보는 안목을 우리 다음 세대 유권자들이 가질 수 있도록 해 주어야 하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1. KBS1TV 「피플 세상속으로」2000년 5월 30일 방영 「끝과 시작 - 낙선정치인 노무현」편. [본문으로]
Posted by truerain
l